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커뮤니티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련링크
-
http://19.bog1.top
7회 연결
-
http://11.588bam.top
7회 연결
본문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개막한 13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를 찾은 관람객들이 각종 게임을 둘러보고 있다./김동환 기자
13일 오전 11시 반 부산 벡스코 ‘지스타 2025’ 행사장의 엔씨소프트 부스 앞. 엔씨소프트가 다음 주 내놓을 신작 ‘아이온2’를 시연해 보려는 사람들로 100m가량 줄이 이어졌다. 입장하기까지 수시간이 걸리는데도 사람들은 계속 몰려들었다. 개막 1시간 30여 분 만에 시연 인원은 마감됐다. 부스 오른쪽 편에는 게임 캐릭터 분장을 한 사람과 사진을 찍으려는 줄이 길게 생겼다.
올해로 21주년을 맞은 국내 최대 게임 축제 지스타 2025가 이날 개막했다. 행사는 16일까지 진행된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다. 올해는 44국 1273사 3269부스 규모로 열리는데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전년보다 규모가 줄었다. 넥슨과 펄어비스, 컴투스 등 국내 주요 게임사가 대거 불참한 탓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잔치에 머물렀던 지스타가 기로에 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주요 게임사 불참
올해 행사 규모는 작년(1375사, 3359부스)보다 줄 바다이야기부활 었다. 그간 가장 많은 주관사를 맡았던 넥슨이 신작 개발 등을 이유로 빠졌다. 지난 8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 게임쇼 ‘게임스컴’, 지난 9월 ‘도쿄게임쇼’ 등에 참석했던 국내 주요 게임사도 불참했다. 대형사 중에는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 넷마블이 신작을 선보였다.
국제 게임 온라인야마토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개막한 13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를 찾은 관람객들이 크래프톤의 팰월드 게임 캐릭터를 보고 있다./김동환 기자
국내 게임사들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지만 정작 지스타는 국내 행사에 머무르면서 국제 게임쇼로 성장하는 데 한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온 바다이야기예시야마토게임 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게임은 콘솔 등을 통한 ‘패키지’ 게임이다. 국내 게임사도 글로벌 시장을 고려해 PC·콘솔 패키지 게임을 선택하고 해외 게임쇼에서 신작을 공개하고 있다. 반면 국내는 여전히 모바일 게임 위주여서 국내 대형 게임사들은 해외 게임쇼에 집중하는 실정이다.
일부 글로벌 게임사가 지스타에 복귀하면서 국내 게임사 야마토게임 빈자리를 메웠다. ‘오버워치’로 유명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12년 만에 지스타에 복귀했고, 세가·아틀러스,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 워호스 스튜디오 등 현재 주목받는 세계적 개발사들이 참여했다. 다만 이들은 신작 공개 없이 기존 게임 시연에 그치면서 해외 팬이나 해외 매체를 끌어들일 만한 핵심 요소는 없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주요 게임쇼는 행사 한참 전부터 글로벌 업체 유치에 공을 들인다”면서 “국제 전시회 이름에 걸맞은 행사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게임 ‘내러티브’ 시대
지금까지 지스타는 게임 개발사들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신기술을 선보이는 자리가 되면서 ‘종합 IT쇼’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올해 지스타 핵심 키워드는 서사와 이야기가 담긴 ‘내러티브’다. AI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새로운 그래픽과 기술을 선보이기보다 스토리 라인이 점차 중요해지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캐릭터가 중심인 ‘서브컬처 게임’에서도 스토리 라인이 없으면 이용자를 끌어들일 수 없다”고 했다. 서브컬처 게임은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같은 특정 마니아층 문화를 전면에 내세우는 게임을 말한다.
지스타와 함께 열리는 게임 콘퍼런스인 ‘지콘(G-CON)’에도 ‘내러티브’ 중심의 연사들이 초대됐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창시자이자 일본 RPG(롤플레잉 게임)의 아버지로 불리는 호리이 유지가 무대에 서고, 요코 타로와 카미야 히데키의 대담 등 RPG 거장들이 참석한다. 영화 ‘굿뉴스’의 변성현 감독과 네이버웹툰 ‘죽음에 관하여’의 시니 작가 등 다른 장르의 인사들도 초청됐다. 인디쇼케이스도 게임 시연 부스에 더해 시나리오 관람, 관계도 전시, 세계관 설명 등의 코너가 포함됐다.
◇‘맏형’ 엔씨 반등할까
엔씨소프트는 올해 처음 지스타의 주관사가 됐다. 그간 게임사들이 돌아가며 주관사를 맡았는데, 엔씨소프트는 신작 개발 등의 이유로 지스타에 불참한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 최대 규모인 부스 300개를 차리며 사실상 “엔씨 축제”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엔씨소프트는 그간 리니지 IP(지식재산권) 의존도가 심화되고 신작 출시 연기, 흥행 실패 등으로 주가도 부진했다. 그만큼 오는 19일 한국·대만에서 동시 출시되는 차기작 ‘아이온2’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13일 부산 벡스코 2025 지스타 엔씨소프트 부스에서 열린 오프닝 세션 개막 연설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번 게임쇼 부스에도 공을 들였다. 엔비디아와 협업해 최신 GPU인 RTX50을 모든 시연 PC에 탑재했고, 삼성전자·MS·레이저 등과 협업해 체험 장비도 고사양으로 마련했다. 엔씨는 이번 행사에서 아이온2를 포함한 신작 5종을 공개했다. 신작 다중접속 역할 게임(MMORPG)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를 이날 최초 공개했고, 슈팅(신더시티), 액션(타임테이커스), 서브컬처(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등 다양한 장르로 비(非)MMORPG 작품도 함께 공개했다.
넷마블은 총 112부스 규모에 145개 시연대를 마련하고, 프로젝트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KARMA,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몬길: STAR DIVE 등 4종의 신작을 선보인다. 크래프톤도 차기작 ‘팰월드(Palworld) 모바일’을 최초 공개하고, 대표작인 ‘배틀그라운드’ 테마의 전시 공간도 마련했다. 웹젠은 국내 게임 개발사 리트레일이 개발 중인 서브컬처 신작 ‘게이트 오브 게이츠(Gate of Gates)’를 출품한다
13일 오전 11시 반 부산 벡스코 ‘지스타 2025’ 행사장의 엔씨소프트 부스 앞. 엔씨소프트가 다음 주 내놓을 신작 ‘아이온2’를 시연해 보려는 사람들로 100m가량 줄이 이어졌다. 입장하기까지 수시간이 걸리는데도 사람들은 계속 몰려들었다. 개막 1시간 30여 분 만에 시연 인원은 마감됐다. 부스 오른쪽 편에는 게임 캐릭터 분장을 한 사람과 사진을 찍으려는 줄이 길게 생겼다.
올해로 21주년을 맞은 국내 최대 게임 축제 지스타 2025가 이날 개막했다. 행사는 16일까지 진행된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다. 올해는 44국 1273사 3269부스 규모로 열리는데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전년보다 규모가 줄었다. 넥슨과 펄어비스, 컴투스 등 국내 주요 게임사가 대거 불참한 탓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잔치에 머물렀던 지스타가 기로에 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주요 게임사 불참
올해 행사 규모는 작년(1375사, 3359부스)보다 줄 바다이야기부활 었다. 그간 가장 많은 주관사를 맡았던 넥슨이 신작 개발 등을 이유로 빠졌다. 지난 8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 게임쇼 ‘게임스컴’, 지난 9월 ‘도쿄게임쇼’ 등에 참석했던 국내 주요 게임사도 불참했다. 대형사 중에는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 넷마블이 신작을 선보였다.
국제 게임 온라인야마토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개막한 13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를 찾은 관람객들이 크래프톤의 팰월드 게임 캐릭터를 보고 있다./김동환 기자
국내 게임사들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지만 정작 지스타는 국내 행사에 머무르면서 국제 게임쇼로 성장하는 데 한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온 바다이야기예시야마토게임 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게임은 콘솔 등을 통한 ‘패키지’ 게임이다. 국내 게임사도 글로벌 시장을 고려해 PC·콘솔 패키지 게임을 선택하고 해외 게임쇼에서 신작을 공개하고 있다. 반면 국내는 여전히 모바일 게임 위주여서 국내 대형 게임사들은 해외 게임쇼에 집중하는 실정이다.
일부 글로벌 게임사가 지스타에 복귀하면서 국내 게임사 야마토게임 빈자리를 메웠다. ‘오버워치’로 유명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12년 만에 지스타에 복귀했고, 세가·아틀러스,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 워호스 스튜디오 등 현재 주목받는 세계적 개발사들이 참여했다. 다만 이들은 신작 공개 없이 기존 게임 시연에 그치면서 해외 팬이나 해외 매체를 끌어들일 만한 핵심 요소는 없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주요 게임쇼는 행사 한참 전부터 글로벌 업체 유치에 공을 들인다”면서 “국제 전시회 이름에 걸맞은 행사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게임 ‘내러티브’ 시대
지금까지 지스타는 게임 개발사들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신기술을 선보이는 자리가 되면서 ‘종합 IT쇼’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올해 지스타 핵심 키워드는 서사와 이야기가 담긴 ‘내러티브’다. AI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새로운 그래픽과 기술을 선보이기보다 스토리 라인이 점차 중요해지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캐릭터가 중심인 ‘서브컬처 게임’에서도 스토리 라인이 없으면 이용자를 끌어들일 수 없다”고 했다. 서브컬처 게임은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같은 특정 마니아층 문화를 전면에 내세우는 게임을 말한다.
지스타와 함께 열리는 게임 콘퍼런스인 ‘지콘(G-CON)’에도 ‘내러티브’ 중심의 연사들이 초대됐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창시자이자 일본 RPG(롤플레잉 게임)의 아버지로 불리는 호리이 유지가 무대에 서고, 요코 타로와 카미야 히데키의 대담 등 RPG 거장들이 참석한다. 영화 ‘굿뉴스’의 변성현 감독과 네이버웹툰 ‘죽음에 관하여’의 시니 작가 등 다른 장르의 인사들도 초청됐다. 인디쇼케이스도 게임 시연 부스에 더해 시나리오 관람, 관계도 전시, 세계관 설명 등의 코너가 포함됐다.
◇‘맏형’ 엔씨 반등할까
엔씨소프트는 올해 처음 지스타의 주관사가 됐다. 그간 게임사들이 돌아가며 주관사를 맡았는데, 엔씨소프트는 신작 개발 등의 이유로 지스타에 불참한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 최대 규모인 부스 300개를 차리며 사실상 “엔씨 축제”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엔씨소프트는 그간 리니지 IP(지식재산권) 의존도가 심화되고 신작 출시 연기, 흥행 실패 등으로 주가도 부진했다. 그만큼 오는 19일 한국·대만에서 동시 출시되는 차기작 ‘아이온2’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13일 부산 벡스코 2025 지스타 엔씨소프트 부스에서 열린 오프닝 세션 개막 연설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번 게임쇼 부스에도 공을 들였다. 엔비디아와 협업해 최신 GPU인 RTX50을 모든 시연 PC에 탑재했고, 삼성전자·MS·레이저 등과 협업해 체험 장비도 고사양으로 마련했다. 엔씨는 이번 행사에서 아이온2를 포함한 신작 5종을 공개했다. 신작 다중접속 역할 게임(MMORPG)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를 이날 최초 공개했고, 슈팅(신더시티), 액션(타임테이커스), 서브컬처(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등 다양한 장르로 비(非)MMORPG 작품도 함께 공개했다.
넷마블은 총 112부스 규모에 145개 시연대를 마련하고, 프로젝트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KARMA,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몬길: STAR DIVE 등 4종의 신작을 선보인다. 크래프톤도 차기작 ‘팰월드(Palworld) 모바일’을 최초 공개하고, 대표작인 ‘배틀그라운드’ 테마의 전시 공간도 마련했다. 웹젠은 국내 게임 개발사 리트레일이 개발 중인 서브컬처 신작 ‘게이트 오브 게이츠(Gate of Gates)’를 출품한다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