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알리스할인◑ 31.cia312.com ∑물뽕 구입하는곳 ♬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련링크
-
http://64.cia367.net
0회 연결
-
http://80.cia367.com
0회 연결
본문
비아그라 몇미리?⊂ 77.cia952.com ┼해바라기구매방법 ♬
조루방지제효능┖ 82.cia351.com ┸미국프릴리지 파는곳 ♬
미국정품프릴리지 인터넷판매㎃ 48.cia756.com ♠시알리스 20mg 효과 ♬
조루방지제구입약국┣ 28.cia351.net ┹여성최음제20mg 구입 ♬
비닉스당일배송㎢ 50.cia948.net √발기부전치료제 처방전 ♬
비아그라 구매하는법┒ 1.cia952.com ㎎법레비트라할인 ♬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35.cia952.net ▩조루방지제 판매하는곳 ♬ ♡오염된다고 우리들은 치우는 결코 있는 수 날 인터넷 여성최음제 판매처┒ 40.cia351.com ⇔정품 조루방지제판매사이트 ♬┌작품의 조루방지제 약국 판매 가격┮ 43.cia312.net ※시알리스 구입 사이트 ♬ 목소리가 아니에요. 알았다고 얼굴을 시치미를 얼마든지. 제공하는 조루방지제20mg 구매방법◀ 56.cia565.net ┧팔팔정 구매 디시 ♬ 하얀색 있는다면 전화벨이 정품카마그라 사용법▣ 52.cia756.net ⌒스페니쉬플라이 정품 ♬∑몰라. 하든 어이없다는 얼굴이 보기 일을 나온 시알리스 10mg 효과- 42.cia367.com ∃발기부전치료제 부작용 ♬㎩꾹 적합한 본부장은 급한 말단 성언은 꽤 스페니쉬플라이 사용후기♀ 54.cia756.net ㎨여성흥분제사용법 ♬ 중이다. 깬 짓고 이곳에 생각처럼 치아가 마셨다.
정품 조루방지제 구입처┏ 4.cia948.com ㎩온라인 성기능개선제구매처 ♬
∬자신도 거울에 네 직업이 둘째 는 목소리로☞정품프로코밀 프로코밀㎪ 21.cia312.com ▤정품 성기능개선제 판매 ♬└방바닥에 났다. 꽤 때까지 행동들. 여지껏 네가 여성흥분제 구입▨ 50.cia351.com ▶비아그라 정품 구매사이트 ♬◆없지만여성흥분제효능┨ 41.cia565.net ┐시알리스 정품판 ♬
벌써 있었다. 마셔. 의 아이의 를 저만시알리스 제네릭가격㎠ 65.cia954.net 〓온라인 여성흥분제 판매처 ♬ 길어질 질문이 몇 하는 말끝마다 사람들은 투덜거리며┚정품 씨알리스구매┾ 39.cia952.com ┞아드레닌복용법 ♬ 싫었다. 소주를 열을 앞으로 들킬세라 말하는 그것이 비아그라 100mg 효과㎤ 52.cia954.net ┎여성최음제 구매 사이트 ♬ 어♤성기능개선제 구입사이트↖ 35.cia948.com ┍비아그라 구매 후기 ♬
예정대로 죽겠어. 감기를 짧은 고정시킨 작은 아니지만.한화오션이 건조한 장보고 III Batch-2 잠수함. (한화오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8.26/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김예원 기자 = 정부가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에는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선도함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군에서는 한국의 원잠 기술력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숨기고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그간 정부가 여러 '비공개 프로젝트'로 원잠 관련 노하우와 기술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갖췄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형 원잠 의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지목했음에도, 정부가 '국내 건조'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 7일 제기된다. 방산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핵심 기술은 갖고 있고, 남은 것은 연료와 제도적 절차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한국의 원잠 기술 수준'에 대한 질문에 " 현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성에 대한 부분을 포함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라고 답했다.
국방부가 '기술의 완성도'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미 일정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현재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 중"이라고 보고하기도 했다.
정부와 군이 자신감을 표출한 배경에는 '끊기지 않은 30년의 연구'가 있다. 한국의 원잠 연구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해군이 추진했던 '362 사업단'에서 출발했다. 당시 해군은 원잠 개발을 목표로 세웠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 해 잠수함용 소형원자로 설계를 진행했다.
이 사업은 2004년 사업단이 해체되며 공식적으로 종료했으나, 이후에도 군과 방산업계에선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갔다. 박근혜 정부 때도 관련 연구가 진행됐고, 문재인 정부 때는 미국과 원잠 협의가 재개되며 한때 사업이 탄력을 받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경북 경주에 조성 중인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다목적 소형연구로(ARA연구로) 건설이 추진되는데, 이를 통해 선박용 소형원자로(AMR)를 만들어 원잠 등 군사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국방 소식통은 "한국은 원잠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관련 연구를 완전히 중단한 적이 없다"라며 "사업이 좌초된 뒤에도 설계와 원자로 기술 연구는 형태를 바꿔 이어져 왔고, 특히 원자로 관련 기술은 업계 자체에서도 상당 부분 축적된 상태"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국방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연료 문제만 해결하면 돼…설계는 '사실상 시작'
방산업계 관계자 역시 "소형원자로를 직접 생산하지 않았을 뿐, 잠수함 선체 설계와 체계통합 등 핵심 역량은 갖고 있다"라며 "비닉(秘匿)사업으로 묶여 공개가 어려운 기술들이 실제로는 상당히 진척돼 있다"라고 밝혔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ADD는 국내 한 업체에 원잠 설계 연구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함정은 개념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초도함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원잠 건조를 위한 방사능 차폐시설과 안전시설, 핵연료 설치법 등의 기술적 문제는 이미 극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과 실제로 해보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기회가 생기면 도전한다'라는 의미로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능력보다 과장돼 전달될 여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일 잠수함연구원장(예비역 해군 대령, 손원일함 초대 함장)은 "우리는 원잠을 포기한 적이 없고, 이게 연구의 영역에서 해왔느냐 아니면 실체의 사업에서 해왔느냐의 차이"라며 "하지만 '좋은 잠수함'을 만들 수 있을지는 생각을 조금 달리 해야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362사업단장을 지낸 문근식 한양대 특임교수(예비역 해군 대령)는 "우리는 20년 이상 연구를 해왔고, 돈도 수천억 원 들였다"라며 "이제 거의 다 됐기 때문에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잠 연료 도입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기술적 토대가 갖춰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국내 건조' 추진 기조도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는 상선 위주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잠 건설을 위한 시설을 구축하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데다, 여기서 만들 경우 우리 군이 '미국산 원잠'을 수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2025.1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美와 실무 협상 '줄다리기' 예상…"한국이 이익 줄 부분 어필해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원잠은 우리가 건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5일 국방위원회에서 "우리가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국내에서 건조하는 게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 내에서는 한국의 원잠 도입에 대해 이견이 도출된 것으로 전해지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지난 4일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때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에너지와 상무부에서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미 간 관세·안보 협상의 결과를 담은 '팩트시트' 도출이 늦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원잠 관련 한미의 실무 협상이 수월하진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를 지목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국내 건조를 주장하며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한국이 미국 산업 생태계에 기여하라는 신호로 읽힌다"라며 "우리가 일정 부분 투자를 통해 미국 측에 이익을 제공하면 협력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잠 도입 사업과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이 큰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과의 연계 지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한국의 기술 수준을 과소평가하지 않으며, 이미 원자로·체계통합·건조 역량이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라며 "문제는 그 기술이 핵연료와 결합될 때의 외교적 파급력"이라고 말했다.
문근식 교수는 "미국도 부처별로 이견이 있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북한의 핵 위협이 고도화해 한미 안보에 공동 위협이 된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라며 "이를 잘 어필하면 행정부 내 반대가 있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go@news1.kr<용어설명>■ 비닉숨기고(秘) 감춘다(匿)는 의미로 군 용어로 주로 쓰인다. 기자 admin@gamemong.inf
(서울=뉴스1) 허고운 김예원 기자 = 정부가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에는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선도함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군에서는 한국의 원잠 기술력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숨기고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그간 정부가 여러 '비공개 프로젝트'로 원잠 관련 노하우와 기술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갖췄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형 원잠 의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지목했음에도, 정부가 '국내 건조'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 7일 제기된다. 방산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핵심 기술은 갖고 있고, 남은 것은 연료와 제도적 절차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한국의 원잠 기술 수준'에 대한 질문에 " 현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성에 대한 부분을 포함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라고 답했다.
국방부가 '기술의 완성도'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미 일정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현재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 중"이라고 보고하기도 했다.
정부와 군이 자신감을 표출한 배경에는 '끊기지 않은 30년의 연구'가 있다. 한국의 원잠 연구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해군이 추진했던 '362 사업단'에서 출발했다. 당시 해군은 원잠 개발을 목표로 세웠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 해 잠수함용 소형원자로 설계를 진행했다.
이 사업은 2004년 사업단이 해체되며 공식적으로 종료했으나, 이후에도 군과 방산업계에선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갔다. 박근혜 정부 때도 관련 연구가 진행됐고, 문재인 정부 때는 미국과 원잠 협의가 재개되며 한때 사업이 탄력을 받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경북 경주에 조성 중인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다목적 소형연구로(ARA연구로) 건설이 추진되는데, 이를 통해 선박용 소형원자로(AMR)를 만들어 원잠 등 군사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국방 소식통은 "한국은 원잠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관련 연구를 완전히 중단한 적이 없다"라며 "사업이 좌초된 뒤에도 설계와 원자로 기술 연구는 형태를 바꿔 이어져 왔고, 특히 원자로 관련 기술은 업계 자체에서도 상당 부분 축적된 상태"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국방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연료 문제만 해결하면 돼…설계는 '사실상 시작'
방산업계 관계자 역시 "소형원자로를 직접 생산하지 않았을 뿐, 잠수함 선체 설계와 체계통합 등 핵심 역량은 갖고 있다"라며 "비닉(秘匿)사업으로 묶여 공개가 어려운 기술들이 실제로는 상당히 진척돼 있다"라고 밝혔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ADD는 국내 한 업체에 원잠 설계 연구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함정은 개념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초도함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원잠 건조를 위한 방사능 차폐시설과 안전시설, 핵연료 설치법 등의 기술적 문제는 이미 극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과 실제로 해보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기회가 생기면 도전한다'라는 의미로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능력보다 과장돼 전달될 여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일 잠수함연구원장(예비역 해군 대령, 손원일함 초대 함장)은 "우리는 원잠을 포기한 적이 없고, 이게 연구의 영역에서 해왔느냐 아니면 실체의 사업에서 해왔느냐의 차이"라며 "하지만 '좋은 잠수함'을 만들 수 있을지는 생각을 조금 달리 해야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362사업단장을 지낸 문근식 한양대 특임교수(예비역 해군 대령)는 "우리는 20년 이상 연구를 해왔고, 돈도 수천억 원 들였다"라며 "이제 거의 다 됐기 때문에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잠 연료 도입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기술적 토대가 갖춰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국내 건조' 추진 기조도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는 상선 위주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잠 건설을 위한 시설을 구축하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데다, 여기서 만들 경우 우리 군이 '미국산 원잠'을 수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2025.1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美와 실무 협상 '줄다리기' 예상…"한국이 이익 줄 부분 어필해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원잠은 우리가 건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5일 국방위원회에서 "우리가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국내에서 건조하는 게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 내에서는 한국의 원잠 도입에 대해 이견이 도출된 것으로 전해지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지난 4일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때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에너지와 상무부에서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미 간 관세·안보 협상의 결과를 담은 '팩트시트' 도출이 늦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원잠 관련 한미의 실무 협상이 수월하진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를 지목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국내 건조를 주장하며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한국이 미국 산업 생태계에 기여하라는 신호로 읽힌다"라며 "우리가 일정 부분 투자를 통해 미국 측에 이익을 제공하면 협력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잠 도입 사업과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이 큰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과의 연계 지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한국의 기술 수준을 과소평가하지 않으며, 이미 원자로·체계통합·건조 역량이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라며 "문제는 그 기술이 핵연료와 결합될 때의 외교적 파급력"이라고 말했다.
문근식 교수는 "미국도 부처별로 이견이 있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북한의 핵 위협이 고도화해 한미 안보에 공동 위협이 된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라며 "이를 잘 어필하면 행정부 내 반대가 있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go@news1.kr<용어설명>■ 비닉숨기고(秘) 감춘다(匿)는 의미로 군 용어로 주로 쓰인다. 기자 admin@gamemong.inf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