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 릴게임환전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련링크
-
http://34.rhq451.top 1회 연결
-
http://12.rnd245.top 1회 연결
본문
손오공 게임 ╄ 무료슬롯 ╄┒ 87.rgu985.top ≪“40년을 집권했지만 아직 마무리할 과제가 있다. 혼란을 허용할 수는 없다.”
요웨리 무세베니(81) 우간다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2026년 1월 예정된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이렇게 말했다. 1986년 쿠데타로 집권한 그는 40년째 국가를 통치하고 있다. 임기·연령 제한을 없애는 헌법 개정을 두 차례 단행해 이번엔 7선에 도전한다. 우간다 선거관리위원회는 그의 후보 등록을 승인했고, 여당 국민저항운동(NRM)은 “국가의 안정은 무세베니만이 보장한다”며 지지를 선언했다.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 /AP 연합뉴스
‘가난에서 구한 지도자’ ‘안정과져스트릴게임
성장의 상징’ ‘검은 히틀러를 몰아낸 국민 영웅’… 무세베니를 부르는 호칭은 다양하다. 그러나 그 이면엔 ‘독재자가 된 해방투사’라는 모습이 있다.
무세베니는 1970년대 학살과 공포정치로 악명을 떨쳤던 독재자 이디 아민 축출의 선봉장이었다. 아민은 집권 기간(1971~1979) 약 30만명을 희생시켜 ‘검은 히틀러’로 불렸다. 아민을 야마토게임장
피해 탄자니아로 간 무세베니는 그곳에서 반란군을 결성해 맞서 아민의 철권 통치를 무너뜨렸다. 1986년 정적(政敵) 밀턴 오보테 전 대통령을 몰아내고 대통령에 올랐다.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 6.7%를 기록하며 우간다를 동아프리카의 강국으로 키워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다이야기예시
지난달 24일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 무세베니의 선거 벽보가 붙어 있다. 벽보에는 'PROTECTING THE GAINS(성과를 지켜내자)'라고 적혀 있다. 무세베니가 즐겨하는 구호다. /AFP 연합뉴스
그러나 점차 권력을 이용해 민주주의를 압박했다. 야당 인사를 대거 구금하고 언론야마토게임장
을 폐간했다. 본인 나이가 75세를 넘자 75세 이상 대선 출마 금지 헌법 조항을 수정했다. 소셜미디어까지 전면 폐쇄하며 비판 여론을 틀어막았다. 국제인권단체들은 우간다를 ‘선거는 있지만 정권 교체는 없는 나라’로 규정한다.
무세베니의 맞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음악가·배우 출신 43세 야권 지도자 보비 와인(Bobi Wine·본명 로버트주식손절
키아굴라니)이 “Our Time(우리 세대의 시대)”을 외치며 대선에 출마했다. 보비 와인은 한 인터뷰에서 “나는 단순한 연예인이 아니다. 사회를 변화시킬 플랫폼을 가졌다”고 말했다. 2021년 대선에서도 두 사람의 대결은 세대 갈등의 상징이었다. ‘리턴 매치’인 것이다.
지난 대선에선 무세베니가 58.6%를 획득하며 당선되었지만(보비 와인 34.8%) 국제 사회와 보비 와인 측은 부정 선거 의혹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보비 와인이 선거 유세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아프리카서 독재로 명함 꺼내려면 “기본 30년”
무세베니의 40년 집권은 아프리카 정치에서는 특별하지 않다. ‘평균에서 약간 더 길게’ 집권한 정도다. 아프리카에서 독재자의 명함을 걸려면 최소 30년은 권좌를 지켜야 한다.
2025년 현재 군주를 제외하고 30년 이상 권좌를 지킨 현직 독재자는 전 세계에서 7명이다. 이 중 테오도로 오비앙 음바소고(적도기니·45년), 폴 비야(카메룬·42년), 드니 사수 은게소(콩고·39년), 요웨리 무세베니(우간다·39년),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에리트레아·32년) 등 5명이 아프리카 출신이다. 전 세계 30년 이상 장기 집권자 중 약 71%가 아프리카 대륙에 집중돼 있는 셈이다.
2023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이시이아스 아페웨르키(왼쪽) 에리트리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회담을 갖기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음바소고는 1979년 쿠데타로 삼촌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음바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 국영 석유산업을 본인 소유로 운영하고 있고, 아들 테오도로 은긴 오비망 망게를 부통령으로 임명해 세습 독재를 준비 중이다. 폴 비야는 92세 나이지만 12일 예정된 대선에 출마해 8선을 바라본다. 군 장성 출신인 드니 사수 은게소는 헌법 개정으로 임기 제한을 없앴고, 독립운동가였던 이시이아스 아페웨르키는 집권 후 대통령 선거를 아예 폐지했다. 국제 사회에선 그를 ‘아프리카의 김일성’으로 부른다.
20년 이상 집권으로 넓혀도 그 숫자는 더 늘어난다. 2025년 기준 20년 이상 독재자는 22명인데, 이 중 12명이 아프리카 국가다. 이들 모두 대부분 집권→헌법 개정→정적 제거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권력을 놓지 않고 있다.
◇식민지 유산과 독재자가 된 영웅
아프리카가 이토록 독재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식민지 시대의 유산이다. 유럽 열강이 19세기 자의적으로 그어 놓은 국경은 민족·언어·종교가 뒤섞인 사회를 만들었다. 독립 후 지도자들은 이 분열된 사회를 통합한다는 명분 아래 중앙집권을 강화했다. “부족 갈등을 막기 위해” “국가 통합과 질서 유지를 위해” 헌법과 의회를 무력화하고 임기 제한을 폐지하는 식이다.
무아마르 카다피의 최후. /조선DB
문제는 ‘해방 영웅’이 ‘왕국’을 건설하는 아이러니다. 짐바브웨 로버트 무가베, 리비아 무아마르 카다피 등 많은 독재자는 식민 통치나 이전 악덕 정권을 몰아낸 영웅으로 출발했다. 무가베는 짐바브웨를 통치하던 백인 정권(로디지아)을 몰아낸 민족 영웅이었지만, 37년 집권 시기 초(超)인플레이션을 불러내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냈다. 무능한 왕정을 몰아내고 집권한 카다피는 42년을 집권하다 2011년 ‘아랍의 봄’으로 축출됐다. 그는 고향 시르테에서 반군에 의해 숨졌다.
이들의 공통점은 집권 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도를 압도하고 민주주의를 희생시켰다는 것. 우간다의 무세베니가 1970년대 이디 아민 정권의 폐허 위에서 집권해 40년 후 또 다른 아민이 된 것과 같은 궤적이다.
1980년 김일성과 만난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전 대통령. 오른쪽은 92세 생일파티를 하는 무가베. 무가베는 95세에 숨졌다. /유튜브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지원을 받은 후폭풍이라는 분석도 있다. 냉전기에 미국과 소련은 ‘지역 안정’을 이유로 아프리카의 독재 정권을 적극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정권은 외부 원조와 석유·광물 등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에 갇혔다. 그 결과 권력자들에게는 “국가는 곧 자신”이라는 착각과 “정권 교체는 곧 국가 붕괴”라는 논리가 자리 잡았고 부패와 권력 사유화가 제도로 고착됐다.
◇젊은 세대 각성과 흔들리는 ‘영원한 권력’
아프리카 대륙 전체가 독재의 그림자 속에 있는 것은 아니다. 변화의 조짐 또한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가나, 보츠와나, 모리셔스는 비교적 안정된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남아공은 넬슨 만델라가 인종차별(아파르트헤이트)을 종식시킨 이후 여섯 차례의 평화적 정권 교체를 이뤘고, 사법부 독립과 언론 자유를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가나는 1992년 다당제 헌법 제정 후 꾸준히 자유선거를 치르며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안정된 민주국가로 평가받는다. 보츠와나는 1966년 독립 이후 단 한 번의 쿠데타도 없었고, 투명한 재정 운영과 안정된 경제로 ‘아프리카의 스위스’라 불린다. 인도양의 작은 섬나라 모리셔스는 인권과 언론 자유 지수에서 헝가리·멕시코 등 일부 OECD 국가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다.
넬슨 만델라
이들 나라의 공통점은 권력 교체가 실제로 가능하다는 믿음이 국민 사이에 공통적으로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반 위에서 시민사회와 언론이 정부를 감시하고, 선거를 통한 평화적 권력 교체가 반복되면서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안착했다.
이 변화는 다른 나라에서도 서서히 퍼지고 있다. 무세베니로 상징되는 늙은 권력의 시대가 젊은 세대의 각성 앞에 흔들리는 것이다. 2020년 나이지리아의 ‘#EndSARS 운동’, 2023년 수단 군정 반대 시위, 2024년 세네갈 청년 시위는 모두 “안정 대신 민주주의 복원”이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나이지리아의 ‘#EndSARS 운동’은 경찰 내 ‘특수강도진압반(SARS)’의 고문과 살인을 폭로하며 촉발된 청년 주도 시위였다. 반부패와 세대 교체 요구로 번지며 전국으로 확산했다. 수단 군정 반대 시위는 군부가 민간 정권 이양 약속을 어기면서, 세네갈은 마키 살 대통령이 임기 연장을 위해 대선을 무단 연기하면서 시작됐다. 결국 마키 살은 대선 출마를 포기했고 야당 후보 바시루 디오마예 파예가 당선됐다.
2023년 나이지리아 청년들이 수도 아부자에서 민주주의를 호소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피켓엔 "DEMOCRACY SHOULD NOT BE MURDERED(민주주의를 죽이지 말라)"고 적혀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아프리카 젊은 세대가 거리로 나서는 이유는 세대의 절망과 구조의 정체 때문이다. 대륙의 평균 연령은 19세지만 청년 실업률은 30~50%에 달하고, 기득권층이 권력과 자원을 독점한 정치 구조는 한 세대 전의 틀에 갇혀 있다. 1980~90년대생이 주축인 이들은 스마트폰과 SNS로 부패와 폭력을 실시간 폭로하며 “나라가 멈춰 있다”는 분노를 공유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반정부 집회가 아니라 “우리 세대의 나라를 만들겠다”는 세대 선언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우간다 청년들이 보비 와인 유세 지지에 참석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원샷 국제뉴스 더보기(https://www.chosun.com/tag/oneshot/
요웨리 무세베니(81) 우간다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2026년 1월 예정된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이렇게 말했다. 1986년 쿠데타로 집권한 그는 40년째 국가를 통치하고 있다. 임기·연령 제한을 없애는 헌법 개정을 두 차례 단행해 이번엔 7선에 도전한다. 우간다 선거관리위원회는 그의 후보 등록을 승인했고, 여당 국민저항운동(NRM)은 “국가의 안정은 무세베니만이 보장한다”며 지지를 선언했다.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 /AP 연합뉴스
‘가난에서 구한 지도자’ ‘안정과져스트릴게임
성장의 상징’ ‘검은 히틀러를 몰아낸 국민 영웅’… 무세베니를 부르는 호칭은 다양하다. 그러나 그 이면엔 ‘독재자가 된 해방투사’라는 모습이 있다.
무세베니는 1970년대 학살과 공포정치로 악명을 떨쳤던 독재자 이디 아민 축출의 선봉장이었다. 아민은 집권 기간(1971~1979) 약 30만명을 희생시켜 ‘검은 히틀러’로 불렸다. 아민을 야마토게임장
피해 탄자니아로 간 무세베니는 그곳에서 반란군을 결성해 맞서 아민의 철권 통치를 무너뜨렸다. 1986년 정적(政敵) 밀턴 오보테 전 대통령을 몰아내고 대통령에 올랐다.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 6.7%를 기록하며 우간다를 동아프리카의 강국으로 키워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다이야기예시
지난달 24일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 무세베니의 선거 벽보가 붙어 있다. 벽보에는 'PROTECTING THE GAINS(성과를 지켜내자)'라고 적혀 있다. 무세베니가 즐겨하는 구호다. /AFP 연합뉴스
그러나 점차 권력을 이용해 민주주의를 압박했다. 야당 인사를 대거 구금하고 언론야마토게임장
을 폐간했다. 본인 나이가 75세를 넘자 75세 이상 대선 출마 금지 헌법 조항을 수정했다. 소셜미디어까지 전면 폐쇄하며 비판 여론을 틀어막았다. 국제인권단체들은 우간다를 ‘선거는 있지만 정권 교체는 없는 나라’로 규정한다.
무세베니의 맞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음악가·배우 출신 43세 야권 지도자 보비 와인(Bobi Wine·본명 로버트주식손절
키아굴라니)이 “Our Time(우리 세대의 시대)”을 외치며 대선에 출마했다. 보비 와인은 한 인터뷰에서 “나는 단순한 연예인이 아니다. 사회를 변화시킬 플랫폼을 가졌다”고 말했다. 2021년 대선에서도 두 사람의 대결은 세대 갈등의 상징이었다. ‘리턴 매치’인 것이다.
지난 대선에선 무세베니가 58.6%를 획득하며 당선되었지만(보비 와인 34.8%) 국제 사회와 보비 와인 측은 부정 선거 의혹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보비 와인이 선거 유세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아프리카서 독재로 명함 꺼내려면 “기본 30년”
무세베니의 40년 집권은 아프리카 정치에서는 특별하지 않다. ‘평균에서 약간 더 길게’ 집권한 정도다. 아프리카에서 독재자의 명함을 걸려면 최소 30년은 권좌를 지켜야 한다.
2025년 현재 군주를 제외하고 30년 이상 권좌를 지킨 현직 독재자는 전 세계에서 7명이다. 이 중 테오도로 오비앙 음바소고(적도기니·45년), 폴 비야(카메룬·42년), 드니 사수 은게소(콩고·39년), 요웨리 무세베니(우간다·39년),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에리트레아·32년) 등 5명이 아프리카 출신이다. 전 세계 30년 이상 장기 집권자 중 약 71%가 아프리카 대륙에 집중돼 있는 셈이다.
2023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이시이아스 아페웨르키(왼쪽) 에리트리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회담을 갖기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음바소고는 1979년 쿠데타로 삼촌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음바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 국영 석유산업을 본인 소유로 운영하고 있고, 아들 테오도로 은긴 오비망 망게를 부통령으로 임명해 세습 독재를 준비 중이다. 폴 비야는 92세 나이지만 12일 예정된 대선에 출마해 8선을 바라본다. 군 장성 출신인 드니 사수 은게소는 헌법 개정으로 임기 제한을 없앴고, 독립운동가였던 이시이아스 아페웨르키는 집권 후 대통령 선거를 아예 폐지했다. 국제 사회에선 그를 ‘아프리카의 김일성’으로 부른다.
20년 이상 집권으로 넓혀도 그 숫자는 더 늘어난다. 2025년 기준 20년 이상 독재자는 22명인데, 이 중 12명이 아프리카 국가다. 이들 모두 대부분 집권→헌법 개정→정적 제거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권력을 놓지 않고 있다.
◇식민지 유산과 독재자가 된 영웅
아프리카가 이토록 독재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식민지 시대의 유산이다. 유럽 열강이 19세기 자의적으로 그어 놓은 국경은 민족·언어·종교가 뒤섞인 사회를 만들었다. 독립 후 지도자들은 이 분열된 사회를 통합한다는 명분 아래 중앙집권을 강화했다. “부족 갈등을 막기 위해” “국가 통합과 질서 유지를 위해” 헌법과 의회를 무력화하고 임기 제한을 폐지하는 식이다.
무아마르 카다피의 최후. /조선DB
문제는 ‘해방 영웅’이 ‘왕국’을 건설하는 아이러니다. 짐바브웨 로버트 무가베, 리비아 무아마르 카다피 등 많은 독재자는 식민 통치나 이전 악덕 정권을 몰아낸 영웅으로 출발했다. 무가베는 짐바브웨를 통치하던 백인 정권(로디지아)을 몰아낸 민족 영웅이었지만, 37년 집권 시기 초(超)인플레이션을 불러내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냈다. 무능한 왕정을 몰아내고 집권한 카다피는 42년을 집권하다 2011년 ‘아랍의 봄’으로 축출됐다. 그는 고향 시르테에서 반군에 의해 숨졌다.
이들의 공통점은 집권 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도를 압도하고 민주주의를 희생시켰다는 것. 우간다의 무세베니가 1970년대 이디 아민 정권의 폐허 위에서 집권해 40년 후 또 다른 아민이 된 것과 같은 궤적이다.
1980년 김일성과 만난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전 대통령. 오른쪽은 92세 생일파티를 하는 무가베. 무가베는 95세에 숨졌다. /유튜브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지원을 받은 후폭풍이라는 분석도 있다. 냉전기에 미국과 소련은 ‘지역 안정’을 이유로 아프리카의 독재 정권을 적극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정권은 외부 원조와 석유·광물 등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에 갇혔다. 그 결과 권력자들에게는 “국가는 곧 자신”이라는 착각과 “정권 교체는 곧 국가 붕괴”라는 논리가 자리 잡았고 부패와 권력 사유화가 제도로 고착됐다.
◇젊은 세대 각성과 흔들리는 ‘영원한 권력’
아프리카 대륙 전체가 독재의 그림자 속에 있는 것은 아니다. 변화의 조짐 또한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가나, 보츠와나, 모리셔스는 비교적 안정된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남아공은 넬슨 만델라가 인종차별(아파르트헤이트)을 종식시킨 이후 여섯 차례의 평화적 정권 교체를 이뤘고, 사법부 독립과 언론 자유를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가나는 1992년 다당제 헌법 제정 후 꾸준히 자유선거를 치르며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안정된 민주국가로 평가받는다. 보츠와나는 1966년 독립 이후 단 한 번의 쿠데타도 없었고, 투명한 재정 운영과 안정된 경제로 ‘아프리카의 스위스’라 불린다. 인도양의 작은 섬나라 모리셔스는 인권과 언론 자유 지수에서 헝가리·멕시코 등 일부 OECD 국가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다.
넬슨 만델라
이들 나라의 공통점은 권력 교체가 실제로 가능하다는 믿음이 국민 사이에 공통적으로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반 위에서 시민사회와 언론이 정부를 감시하고, 선거를 통한 평화적 권력 교체가 반복되면서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안착했다.
이 변화는 다른 나라에서도 서서히 퍼지고 있다. 무세베니로 상징되는 늙은 권력의 시대가 젊은 세대의 각성 앞에 흔들리는 것이다. 2020년 나이지리아의 ‘#EndSARS 운동’, 2023년 수단 군정 반대 시위, 2024년 세네갈 청년 시위는 모두 “안정 대신 민주주의 복원”이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나이지리아의 ‘#EndSARS 운동’은 경찰 내 ‘특수강도진압반(SARS)’의 고문과 살인을 폭로하며 촉발된 청년 주도 시위였다. 반부패와 세대 교체 요구로 번지며 전국으로 확산했다. 수단 군정 반대 시위는 군부가 민간 정권 이양 약속을 어기면서, 세네갈은 마키 살 대통령이 임기 연장을 위해 대선을 무단 연기하면서 시작됐다. 결국 마키 살은 대선 출마를 포기했고 야당 후보 바시루 디오마예 파예가 당선됐다.
2023년 나이지리아 청년들이 수도 아부자에서 민주주의를 호소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피켓엔 "DEMOCRACY SHOULD NOT BE MURDERED(민주주의를 죽이지 말라)"고 적혀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아프리카 젊은 세대가 거리로 나서는 이유는 세대의 절망과 구조의 정체 때문이다. 대륙의 평균 연령은 19세지만 청년 실업률은 30~50%에 달하고, 기득권층이 권력과 자원을 독점한 정치 구조는 한 세대 전의 틀에 갇혀 있다. 1980~90년대생이 주축인 이들은 스마트폰과 SNS로 부패와 폭력을 실시간 폭로하며 “나라가 멈춰 있다”는 분노를 공유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반정부 집회가 아니라 “우리 세대의 나라를 만들겠다”는 세대 선언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우간다 청년들이 보비 와인 유세 지지에 참석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원샷 국제뉴스 더보기(https://www.chosun.com/tag/oneshot/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