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성온라인주소 ™ 8.rch529.top ™ 무료 충전 바다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련링크
-
http://73.rzz861.top
0회 연결
-
http://62.rgb342.top
0회 연결
본문
【8.rch529.top】
슬롯종류체리마스터 공략야마토 무료 게임파칭코
야마토2 알라딘릴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하는법 양귀비예시 프라그마틱 슬롯 슬롯머신 코딩 황금성검증 하이로우하는법 일본빠징고 황금성게임후기 모바일릴게임 접속하기 릴게임골드몽사이트 온라인 릴게임 야마토릴게임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오션릴게임 오리지날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알라딘다운로드 신천지인터넷게임 다빈치 골드몽릴게임 야마토사이트 무료충전야마토 도그하우스 하는법 다빈치게임 다빈치릴게임먹튀 우주전함 야마토 2202 바다이야기 먹튀 바다이야기 슬롯 황금성pc버전 황금성게임방법 바다이야기 도박 온라인바다이야기 야마토게임다운 최신게임 릴게임주소 바다신2 게임 바다이야기하는법 온라인빠찡고 사이다 릴게임 야마토게임장 체리게임 오징어 릴게임 신천지 무료게임 파칭코하는법 체리게임 예시 릴게임임대 바다이야기 꽁머니 환전 윈윈 슬롯머신 영어로 신천지예시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릴게임 공략법 바다이야기고래 바다이야기 사이트 먹튀 잭팟 무료릴게임 야마토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환전 오션파라다이스게임 우주전함 야마토 먹튀 오션파라 다이스하는방법 야마토5게임 기 해저이야기사이트 10원야 마토 황금포커성 한게임바둑이게임 바다이야기 온라인 현금게임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황금성게임장 바다이야기릴게임 이벤트릴게임 양귀비게임 해적게임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릴게임뜻 바다이야기하는법 릴게임뜻 백경 오션파라다이스 다운로드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먹튀 피해 복구 알라딘릴게임 황금성게임장 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슬롯머신추천 10원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꽁머니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종합 릴게임 무료충전현금게임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오공슬롯 바다이야기 다운로드 Pg 소프트 무료 체험 바다이야기 파일 백경예시 손오공 게임 다운 pc용 황금성 게임 한게임머니파는곳 전함야마토 사이다 릴게임 릴게임백경 슬롯머신무료 바다이야기 상어 온라인 릴게임 일본빠찡코 100원바다이야기 황금성3게임공략법 릴게임안전사이트 프라그마틱환수율 릴게임한국 다빈치릴게임 바다이야기 2화 릴게임임대 오션바다이야기게임 야마토릴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바다이야기 환전 가능 슬롯게임 하는법 양귀비게임설명 뽀빠이놀이터 스핀모바게임랜드 “서해 갯벌 숨구멍 흔적 예술로… 생명의 아름다움 캐낼것”
1981년 인천대 입학 3학년때 발표 시작 졸업하던 해만 10차례 전시
인천문화재단 기획전 2년째 예술감독 지역 학교 출신 작가 작업 선봬
어릴적 환경 유사한 강화에 작업실… 설계 없는 고고학 방식에 매료
지난 27일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에서 만난 차기율 작가는 “생태 시스템의 측면에서 작품을 구상하고 이끌어왔다”며 “올해부터 서해 바다를 중심으로 한 생태학적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평화정공 주식
다. 2025.10.2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문화재단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차기율 작가는 갯벌의 염습 환경에서 발생한 아름다움을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예술가이자, 모교인 국립 인천대학교에서 후배 예술가를 양성하고 있는 교육자다.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차기율 작가의 대표작은 서해 갯벌에 사는 작은 게들이 뻘 밖으로 나오며 만든 작은 구멍과 흔적을 그대로 본떠 구워낸 설치 작품이다. 지난 27일 오전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에서 만난 차 작가는 내년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전시를 앞두고 서해 갯벌을 담은 프로젝트를 구상 중이었다.
■ 고고학과 예술을주식재야고수
잇다
차기율 작가는 유물을 발굴하는 고고학의 작업 방식에서 아름다움을 느껴 이 형식을 작품 활동에 적용해 왔다.
차 작가는 “발굴한 유물에 관심이 가기보단 발굴 작업을 거친 발굴지가 예술적이라는 느낌을 강렬하게 받았다”며 “시험 피트에서 발굴해서 유물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유물이 나올 방향을 찾아가는데, 설계 없이 가설에키움증권모의투자
따라 발굴을 해나가는 작업 방식에 매료됐다”고 했다.
2007년부터 이어온 ‘도시시굴-삶의 고고학’, 갯벌을 본떠 만든 ‘고고학적 풍경-불의 만다라’ 등 차 작가의 대표작에 고고학이 등장하는 이유다.
또 차 작가는 “갯벌을 보면 게가 만들어 낸 배설물 일종이 뻘에 쌓이는데 밀물이 밀려오면 파괴되고, 막힌 구멍을 뚫기 위종자돈굴리기
해 게가 다시 흙을 파기 시작하며 연속되고, 자정과 순화의 과정에서 갯벌이 건강을 획득한다”며 “땅을 뒤집으며 갯벌이 썩지 않게 하는 행위인데 이런 과정에서 생명의 원형과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에 대해 상상하게 되고, 이 풍경을 사람 눈높이에 맞추면 생경한 풍경을 마주할 수가 있다”고 했다.
차기율 작가의 대표작 ‘고고학적 풍경-불의 만다라’. /인천아트플랫폼 제공
■ 인천 강화도에서 고향의 갯벌을 기억하다
차 작가는 현재 강화에 작업실을 조성하고 있다. 큰 규모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자 그동안의 작품들을 보관하는 일종의 연구소인 셈이다.
차 작가가 작업 공간을 강화로 선택한 이유는 강화가 품고 있는 생태 환경 때문이다. 경기 화성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차 작가는 간척 사업으로 사라져 버린 갯벌에 대한 추억이 늘 남아있었다고 한다.
차 작가는 “드넓은 갯벌에 펼쳐진 함초군락, 가을이 되면 오는 많은 철새들, 망둥어 숭어를 잡고 놀던 기억이 남아있었다”며 “기억과 유사한 곳이 강화도였고, 강화의 갯벌과 산구릉 등 풍경을 보고 여기서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되겠다고 생각을 했다”고 했다.
또 차 작가는 “오늘날 내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과 역사를 분리할 수는 없다”며 “강화는 외부 세력의 침탈 과정 속에서 우리가 겪어야 했던 아픔이 남아있는 장소이면서 역사 속 중요한 장소이기 때문에 이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던 것 같다”고 했다.
■ 운명처럼 시작된 인천과의 인연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차 작가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어린 시절부터 막연히 화가가 되겠다고 생각했다. 당시 품질이 좋지 않아 햇볕 아래 녹아버린 크레파스를 손가락으로 찍어 그림을 완성할 정도로 감각적이었다. 더불어 새집을 찾아다닐 정도로 생태에도 관심이 많았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초등학교 4학년 때 서울로 이주하게 된 차 작가는 서울 오산고로 진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미술활동을 했다. 차 작가는 “이중섭, 김소을, 백석, 염상섭 등 예술계 인사들이 많이 졸업한 학교였기 때문에 미술에 대한 전통이 상당히 강했고, 웬만한 대학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며 “고3때쯤엔 이미 화가가 돼있었던 것 같다. 예술가의 사명에 대한 것은 잘 몰랐고, 떨어지는 낙엽에 애상에 잠기는 낭만적인 화가였다”고 회상했다.
화구를 짊어지고 산과 들로 스케치를 하러 다니던 그는 입시에 무심했다. 재수 학원에 다니던 1980년 서울은 민주화를 향한 열기로 들끓었다.
1981년 인천대에 입학하며 인천과의 연을 맺게 된 차 작가는 학교 실기실에서 작품 활동에 열중했다. 대학교 3학년 때 이미 발표를 하기 시작했고, 졸업하던 해에만 전시를 10차례 가까이 할 정도였다.
차 작가는 “학연과 지연에 따라 차별이 극심했던 시기라 인천대 출신은 취급도 못받고 그랬던 적도 있다”며 “민중 미술이 세상을 휩쓸던 시절인데, 기존 미술 질서에 수긍하지 못하면서도 민중 미술에 대해서도 수긍하지 못했던 주변인이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현재 모교에서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는 차 작가는 인천 예술인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스승 중 한 명이다.
차 작가는 “세월이 지나 지금에서 생각하면 예술가는 매우 정치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사회의 불의에 저항할 줄 알아야되고, 기존 질서에 저항하는 것이 아방가르드 정신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와 올해 인천문화재단의 트라이보울 기획전시 ‘인천 청년 작가전’에서 예술 감독을 맡으며 인천 지역 3개 학교에서 나온 작가들의 작업을 선보였다. 차 작가는 “우리가 키워낸 자산에 대해 검증을 해야겠다는 생각에 시작한 것”이라며 “대부분 예술계 약자가 돼서 떠돌이가 됐다고 생각했다. 인천 작가들에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관람객도 많았고, 좋은 성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했다.
■ 차기율 작가가 그려나가는 서해 바다
차 작가는 내년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올해의 작가 개인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가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도 많다.
차 작가는 “서해의 생태학적 환경과 갯벌에 대해 스터디하고 영감을 얻은 것에 대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시작”이라며 “내년 8월이 전시라 시간이 많다면 많은데 구상한 것을 작품화 하는 것이 힘이 부치지만 열심히 해서 좋은 작품을 하려 한다”고 했다. 이어 “올해를 시작으로 백령도부터 여수에 이르는 서해안 축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생태 조사를 하고 현장에서 채집한 것으로 작품을 하고 다시 자연 속에서 파괴되고 이동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대담 프로그램도 진행할 건데 이를 다큐멘터리로 찍고 기록하는 데 2~3년이 걸릴 것 같다”고 했다.
차기율 교수는?
▲1961년 경기 화성 출생
▲1985년 국립인천대학교 미술학사
▲1992년 국립인천대학교 교육석사
▲2013년~ 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조형예술학부 교수
■주요 전시
2007년 도시시굴/삶의 고고학(갤러리 쿤스트 독), 2009년 세 개의 장소(공간화랑), 2013년 순환의 여행/방주와 강목 사이(OCI미술관), 2023년 제7회 박수근 미술상 수상 작가전(박수근 미술관) 등
■주요 수상
2022년 제7회 박수근 미술상, 2025년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백효은 기자 100@kyeongin.co
슬롯종류체리마스터 공략야마토 무료 게임파칭코
온라인릴게임 ™ 26.rch529.top ™ 야마토 창공
야마토2게임하기 ™ 98.rch529.top ™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7
릴게임손오공 ™ 15.rch529.top ™ 무료슬롯게임
빠찡코 ™ 84.rch529.top ™ 모바일야마토5게임
야마토2 알라딘릴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하는법 양귀비예시 프라그마틱 슬롯 슬롯머신 코딩 황금성검증 하이로우하는법 일본빠징고 황금성게임후기 모바일릴게임 접속하기 릴게임골드몽사이트 온라인 릴게임 야마토릴게임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오션릴게임 오리지날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알라딘다운로드 신천지인터넷게임 다빈치 골드몽릴게임 야마토사이트 무료충전야마토 도그하우스 하는법 다빈치게임 다빈치릴게임먹튀 우주전함 야마토 2202 바다이야기 먹튀 바다이야기 슬롯 황금성pc버전 황금성게임방법 바다이야기 도박 온라인바다이야기 야마토게임다운 최신게임 릴게임주소 바다신2 게임 바다이야기하는법 온라인빠찡고 사이다 릴게임 야마토게임장 체리게임 오징어 릴게임 신천지 무료게임 파칭코하는법 체리게임 예시 릴게임임대 바다이야기 꽁머니 환전 윈윈 슬롯머신 영어로 신천지예시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릴게임 공략법 바다이야기고래 바다이야기 사이트 먹튀 잭팟 무료릴게임 야마토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환전 오션파라다이스게임 우주전함 야마토 먹튀 오션파라 다이스하는방법 야마토5게임 기 해저이야기사이트 10원야 마토 황금포커성 한게임바둑이게임 바다이야기 온라인 현금게임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황금성게임장 바다이야기릴게임 이벤트릴게임 양귀비게임 해적게임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릴게임뜻 바다이야기하는법 릴게임뜻 백경 오션파라다이스 다운로드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먹튀 피해 복구 알라딘릴게임 황금성게임장 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슬롯머신추천 10원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꽁머니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종합 릴게임 무료충전현금게임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오공슬롯 바다이야기 다운로드 Pg 소프트 무료 체험 바다이야기 파일 백경예시 손오공 게임 다운 pc용 황금성 게임 한게임머니파는곳 전함야마토 사이다 릴게임 릴게임백경 슬롯머신무료 바다이야기 상어 온라인 릴게임 일본빠찡코 100원바다이야기 황금성3게임공략법 릴게임안전사이트 프라그마틱환수율 릴게임한국 다빈치릴게임 바다이야기 2화 릴게임임대 오션바다이야기게임 야마토릴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바다이야기 환전 가능 슬롯게임 하는법 양귀비게임설명 뽀빠이놀이터 스핀모바게임랜드 “서해 갯벌 숨구멍 흔적 예술로… 생명의 아름다움 캐낼것”
1981년 인천대 입학 3학년때 발표 시작 졸업하던 해만 10차례 전시
인천문화재단 기획전 2년째 예술감독 지역 학교 출신 작가 작업 선봬
어릴적 환경 유사한 강화에 작업실… 설계 없는 고고학 방식에 매료
지난 27일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에서 만난 차기율 작가는 “생태 시스템의 측면에서 작품을 구상하고 이끌어왔다”며 “올해부터 서해 바다를 중심으로 한 생태학적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평화정공 주식
다. 2025.10.2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문화재단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차기율 작가는 갯벌의 염습 환경에서 발생한 아름다움을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예술가이자, 모교인 국립 인천대학교에서 후배 예술가를 양성하고 있는 교육자다.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차기율 작가의 대표작은 서해 갯벌에 사는 작은 게들이 뻘 밖으로 나오며 만든 작은 구멍과 흔적을 그대로 본떠 구워낸 설치 작품이다. 지난 27일 오전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에서 만난 차 작가는 내년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전시를 앞두고 서해 갯벌을 담은 프로젝트를 구상 중이었다.
■ 고고학과 예술을주식재야고수
잇다
차기율 작가는 유물을 발굴하는 고고학의 작업 방식에서 아름다움을 느껴 이 형식을 작품 활동에 적용해 왔다.
차 작가는 “발굴한 유물에 관심이 가기보단 발굴 작업을 거친 발굴지가 예술적이라는 느낌을 강렬하게 받았다”며 “시험 피트에서 발굴해서 유물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유물이 나올 방향을 찾아가는데, 설계 없이 가설에키움증권모의투자
따라 발굴을 해나가는 작업 방식에 매료됐다”고 했다.
2007년부터 이어온 ‘도시시굴-삶의 고고학’, 갯벌을 본떠 만든 ‘고고학적 풍경-불의 만다라’ 등 차 작가의 대표작에 고고학이 등장하는 이유다.
또 차 작가는 “갯벌을 보면 게가 만들어 낸 배설물 일종이 뻘에 쌓이는데 밀물이 밀려오면 파괴되고, 막힌 구멍을 뚫기 위종자돈굴리기
해 게가 다시 흙을 파기 시작하며 연속되고, 자정과 순화의 과정에서 갯벌이 건강을 획득한다”며 “땅을 뒤집으며 갯벌이 썩지 않게 하는 행위인데 이런 과정에서 생명의 원형과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에 대해 상상하게 되고, 이 풍경을 사람 눈높이에 맞추면 생경한 풍경을 마주할 수가 있다”고 했다.
차기율 작가의 대표작 ‘고고학적 풍경-불의 만다라’. /인천아트플랫폼 제공
■ 인천 강화도에서 고향의 갯벌을 기억하다
차 작가는 현재 강화에 작업실을 조성하고 있다. 큰 규모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자 그동안의 작품들을 보관하는 일종의 연구소인 셈이다.
차 작가가 작업 공간을 강화로 선택한 이유는 강화가 품고 있는 생태 환경 때문이다. 경기 화성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차 작가는 간척 사업으로 사라져 버린 갯벌에 대한 추억이 늘 남아있었다고 한다.
차 작가는 “드넓은 갯벌에 펼쳐진 함초군락, 가을이 되면 오는 많은 철새들, 망둥어 숭어를 잡고 놀던 기억이 남아있었다”며 “기억과 유사한 곳이 강화도였고, 강화의 갯벌과 산구릉 등 풍경을 보고 여기서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되겠다고 생각을 했다”고 했다.
또 차 작가는 “오늘날 내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과 역사를 분리할 수는 없다”며 “강화는 외부 세력의 침탈 과정 속에서 우리가 겪어야 했던 아픔이 남아있는 장소이면서 역사 속 중요한 장소이기 때문에 이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던 것 같다”고 했다.
■ 운명처럼 시작된 인천과의 인연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차 작가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어린 시절부터 막연히 화가가 되겠다고 생각했다. 당시 품질이 좋지 않아 햇볕 아래 녹아버린 크레파스를 손가락으로 찍어 그림을 완성할 정도로 감각적이었다. 더불어 새집을 찾아다닐 정도로 생태에도 관심이 많았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초등학교 4학년 때 서울로 이주하게 된 차 작가는 서울 오산고로 진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미술활동을 했다. 차 작가는 “이중섭, 김소을, 백석, 염상섭 등 예술계 인사들이 많이 졸업한 학교였기 때문에 미술에 대한 전통이 상당히 강했고, 웬만한 대학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며 “고3때쯤엔 이미 화가가 돼있었던 것 같다. 예술가의 사명에 대한 것은 잘 몰랐고, 떨어지는 낙엽에 애상에 잠기는 낭만적인 화가였다”고 회상했다.
화구를 짊어지고 산과 들로 스케치를 하러 다니던 그는 입시에 무심했다. 재수 학원에 다니던 1980년 서울은 민주화를 향한 열기로 들끓었다.
1981년 인천대에 입학하며 인천과의 연을 맺게 된 차 작가는 학교 실기실에서 작품 활동에 열중했다. 대학교 3학년 때 이미 발표를 하기 시작했고, 졸업하던 해에만 전시를 10차례 가까이 할 정도였다.
차 작가는 “학연과 지연에 따라 차별이 극심했던 시기라 인천대 출신은 취급도 못받고 그랬던 적도 있다”며 “민중 미술이 세상을 휩쓸던 시절인데, 기존 미술 질서에 수긍하지 못하면서도 민중 미술에 대해서도 수긍하지 못했던 주변인이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현재 모교에서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는 차 작가는 인천 예술인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스승 중 한 명이다.
차 작가는 “세월이 지나 지금에서 생각하면 예술가는 매우 정치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사회의 불의에 저항할 줄 알아야되고, 기존 질서에 저항하는 것이 아방가르드 정신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와 올해 인천문화재단의 트라이보울 기획전시 ‘인천 청년 작가전’에서 예술 감독을 맡으며 인천 지역 3개 학교에서 나온 작가들의 작업을 선보였다. 차 작가는 “우리가 키워낸 자산에 대해 검증을 해야겠다는 생각에 시작한 것”이라며 “대부분 예술계 약자가 돼서 떠돌이가 됐다고 생각했다. 인천 작가들에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관람객도 많았고, 좋은 성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했다.
■ 차기율 작가가 그려나가는 서해 바다
차 작가는 내년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올해의 작가 개인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가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도 많다.
차 작가는 “서해의 생태학적 환경과 갯벌에 대해 스터디하고 영감을 얻은 것에 대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시작”이라며 “내년 8월이 전시라 시간이 많다면 많은데 구상한 것을 작품화 하는 것이 힘이 부치지만 열심히 해서 좋은 작품을 하려 한다”고 했다. 이어 “올해를 시작으로 백령도부터 여수에 이르는 서해안 축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생태 조사를 하고 현장에서 채집한 것으로 작품을 하고 다시 자연 속에서 파괴되고 이동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대담 프로그램도 진행할 건데 이를 다큐멘터리로 찍고 기록하는 데 2~3년이 걸릴 것 같다”고 했다.
차기율 교수는?
▲1961년 경기 화성 출생
▲1985년 국립인천대학교 미술학사
▲1992년 국립인천대학교 교육석사
▲2013년~ 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조형예술학부 교수
■주요 전시
2007년 도시시굴/삶의 고고학(갤러리 쿤스트 독), 2009년 세 개의 장소(공간화랑), 2013년 순환의 여행/방주와 강목 사이(OCI미술관), 2023년 제7회 박수근 미술상 수상 작가전(박수근 미술관) 등
■주요 수상
2022년 제7회 박수근 미술상, 2025년 2025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백효은 기자 100@kyeongin.co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