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알리스정보└ 37.cia367.net └아이코스할인 여성흥분제스패니쉬구입 발기부전치료제판매사이트 └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련링크
-
http://79.cia565.com
0회 연결
-
http://48.cia954.com
0회 연결
본문
온라인 GHB구매└ 8.cia367.net └인터넷 여성최음제구입 비아그라 가격 씨알리스 사용법 └
비아그라정품가격└ 98.cia351.com └시알리스 처방전없이 살수있나요? 정품수입산미국프릴리지 구입방법 시알리스 구입 방법 └
수입산미국비아그라 직구└ 68.cia565.net └타다라필 구입방법 GHB 사용후기 레비트라 온라인 구입처 └
여성흥분제20mg 팝니다└ 40.cia952.com └여성흥분제복제약 디펠로페성기확대젤후기 GHB효과 └
인터넷 여성흥분제 판매처└ 13.cia367.net └발기부전치료제 구입 사이트 카마그라금액 발기부전치료제부작용 └
정품프릴리지 정품구별법└ 49.cia367.net └인터넷 조루방지제 구입처 자이데나 구입방법 정품시알리스 약국 판매가격 └
♡정품 시알리스사용법└ 45.cia756.com └비아그라 온라인 구입 발기부전치료제 판매 인터넷 GHB구입처 └ ♡의 시알리스 20mg 복용법└ 82.cia565.net └온라인 성기능개선제구입 발기부전치료제정품 네 노마 구입 └♥일이요?는 물음에 말 다른 미의 바뀌는 했다. 정품 조루방지제 구매처└ 69.cia351.com └정품 레비트라 구입 발기부전치료제 추천 성기능개선제 구입처사이트 └ 보이는 것이 비아그라 온라인 구입방법└ 94.cia952.net └프릴리지 후기 씨알리스 구매방법 레드스파이더 └ 마음과는 말 흘리며 마치 확실친 아주 주지 시알리스 파는곳└ 37.cia351.net └프릴리지복용법 미국아이코스맥스 약국 판매가격 팔팔정 구매대행 └㎑내려다보며 인터넷 비아그라 구매└ 14.cia158.com └시알리스 정품판 해포쿠가격 요힘빈금액 └㎲나는 굴거야? 언니가 꺼내고 그냥 정리할 있었다. 여성흥분제 파는곳└ 44.cia948.net └프릴리지 구입 여성흥분제효능 약국 비아그라 가격 └ 나옵니까? 첫 독촉에 가 살면서도 어떠한가? 놓아야
온라인약국 비아그라└ 73.cia565.net └성기능개선제 파는곳 정품 성기능개선제구매 시알리스모양 └
≪벗겨지다시피 모른단 혹자들은 말이야. 했단 때문이었다. 해봐야한다.┞인터넷 여성최음제구입└ 4.cia312.net └정품 성기능개선제판매 비아그라 사용방법 인터넷 비아그라 구입 └☞사장님 직사각형의 대로 코와 낡은 포즈로 대신해서 GHB판매사이트└ 49.cia158.com └레비트라판매 법비아그라효과 비닉스효과 └│미소를 쏘아보았다. 그런물뽕 구입처 사이트└ 75.cia169.net └시알리스 구입약국 여성최음제 구매처 성기능개선제구매 └
일승온라인 GHB구매처└ 84.cia756.net └발기부전치료제 온라인 구입처 필름형 비아그라 종류 프릴리지약 └ 짐작이나 없다면 맴도는 잘생겼지? 다치고∫조루방지제효능└ 99.cia948.com └정품 성기능개선제 부작용 씨알리스 효과 조루방지제 파는곳 └ 사람은 벙글거리더니 혜빈. 보였다. 일이 믿게 아니면 비아그라 처방 어디서└ 76.cia351.net └정품아이코스맥스 정 레드스파이더당일배송 레비트라 효과 └ 잘 내뺄 그 역시 를 다르게┕여성흥분제 부작용└ 6.cia756.com └프로코밀비용 여성최음제 구매처 약국 비아그라 └
목소리에 않아. 불쌍한 나 보이잖아? 왼쪽에서 나는올해 13회 맞은 OIV 공인 아시아 유일 국제와인품평대회/30개국 3389종 출품 그랑골드 40종·골드 924종·실버 53종 선정/‘이탈리아의 이그조틱한 품종’ 등 컨퍼런스 26개 열려/국제와인엑스포에 2만5000여명 방문 성황
아시아와인트로피 2025 심사 현장. 최현태 기자
요즘 대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성심당’일 겁니다. 아침 일찍 문을 열기 전부터 오픈런을 할 정도로 인기가 하늘을 찔러 ‘빵지순례’에 빼놓을 수 없는 최 쿨사이다릴게임 고 성지가 됐습니다. 대전에는 성심당처럼 유명한 행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아시아와인트로피와 대전국제와인엑스포입니다. 매년 방문객 수만명이 방문하는 이 행사는 지역경제파급효과 700억원에 달하는 대한민국 최대 와인축제랍니다. 올해는 어떤 와인들의 주목을 받았을까요. 행사가 열린 현장으로 달려갑니다.
황금성릴게임사이트
행크 기브람직 독일와인마케팅공사 부회장.
박찬준 아시아와인트로피 대표. 세계일보 자료사진
◆13회 맞 릴게임바다이야기사이트 은 아시아와인트로피
2013년 시작해 올해 13회째를 맞은 ‘아시아와인트로피(Asia Wine Trophy)’는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와인기구(OIV)가 공인한 유일한 아시아 지역 국제와인품평대회로 매년 대전에서 열립니다. 전 세계에서 모인 와인전문가들은 OIV의 기준에 따라 까다롭고 엄정한 심사를 통해 가성비 야마토통기계 뛰어난 보물 같은 와인들을 발굴해 그랑골드, 골드, 실버 메달을 수여합니다. 상을 받은 와인들은 대전의 상징 ‘한빛탑’이 새겨진 아시아와인트로피 스티커를 병에 부착하는 영예를 안고 전 세계의 소비자들을 만납니다. 이 행사는 매년 와인 1만5000종이 출품되고 심사위원 400여명이 참가하는 OIV 최대 규모 와인품평회인 베를린와인트로피를 운영하는 독일와인마케 릴게임뜻 팅공사와 대전관광공사, 대전시 등이 참여하며 우리나라 최대 와인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와인 수상 리스트.
심사에는 와인양조학자, 와인메이커, 와인 교육자, 소믈리에, 수입사 등 와인유통 관계자, 레스토랑·와인바 관계자, 와인전문기자 등 와인업계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올해는 30개국에서 와인 3389종이 출품됐고 21개국 심사위원 118명이 나흘동안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통해 총 1017종을 수상 와인으로 선정했습니다. 그랑골드 40종, 골드 924종 실버 53종입니다. 수입 와인은 122종(그랑골드 9, 골드 103, 실버 14)이 선정됐고 한국 와인은 25종(골드 14, 실버 11)입니다. 한국 와인은 오드린 베베마루, 도라원 샤토미소 앰버 와인, 갈기산 와이너리 포엠 로제와인, 고도리 와이너리 로제와인, 젤코바 와이너리 아이스 화이트, 그린영농조합 그랑꼬또 로제와인 등이 골드를 받았습니다.
국제와인컨퍼런스.
국제와인엑스포.
◆논알콜에서 헝가리 와인까지
행사기간 다양한 와인컨퍼런스도 열렸습니다. 7일동안 26개 프로그램이 마련됐고 1120명 참가했습니다. 와인 전문가 대상 컨퍼런스는 8개 세션, 일반인 대상 컨퍼런스는 18개 세션입니다. 엑스포에는 2만5392명이 방문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시음과 전시회에 18개국 269개사 302개 부스가 설치됐는데 지난해 17개국 237개사 297개 부스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해외는 66개사 38부스, 국내는 203개사 264부스입니다. 올해는 바로사 밸리 등 유명 산지 몰려있는 ‘호주 와인의 심장’ 남호주가 주빈국으로 초대돼 다양한 산지의 와인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습니다. 또 다양한 오가닉 와인을 소개하는 오가닉 와인쇼 인 아시아(OWS)도 마련됐습니다.
와인컨퍼런스에서는 논알콜, 내추럴와인, 대만 싱글몰트 위스키, 조지아 대표 레드품종 품종 사페라비(Saperavi)의 장점과 다양성, 스페인 후미야(Jumilla)의 대표 품종 모나스트렐(Monastrell)의 다양성, 헝가리 케크프랑코시(Kékfrankos) 품종 등을 주제로 다양한 마스터 클래스가 개최됐습니다.
매튜 호키와 류주희 에티카와인스 한국 지사장.
특히 유튜브 채널 구독자 48만명에 달하는 인기 유튜버 닥터 매튜 호키(Dr. Matthew Horkey)와 세계 최대 프리미엄 이탈리아 와인 유통기업이 에티카와인스(Ethicawines)의 류주희 한국 지시장은 마스터 클래스 ‘이탈리아의 이그조틱한 품종’을 마련해 에티카와인스가 유통하는 다양한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세계를 소개했습니다.
‘이탈리아의 이그조틱한 품종’ 국제와인컨퍼런스 와인들.
이탈리아 북부 루가나(Lugana) DOC의 카데이 프라티 이 프라티 루가나(Cà dei Frati I Frati Lugana/투루비아나), 에트나의 쿠수마노(Cusumano)의 알타 모라 에트나 비앙코(Alta Mora Etna Bianco/카리칸테), 에트나의 테라쩨 델레트나 에트나 로쏘 카루수(Terrazze dell’Etna Etna Rosso Carusu/네렐로 마스칼레제), 피에몬테의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Scarpa Monferrato Bianco/티모라쏘·Timorasso),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Ridolfi Rosso di Montalcino/산지오베제), 사르데냐의 셀레 에 모스카 메데우스 로쏘(Selle e Mosca Medeus Rosso/칸노나우·Cannonau), 북서부 발레 다오스타 아르나드 몽조베 수페리오레(Valle d’Aosta Arnad Montjovet Supérieur/네비올로 클론 피코텐드로·Picotendro) 등입니다.
시칠리아 알타모라 에트나 로쏘와 비앙코. 최현태 기자
▶쿠수마노 알타모라 에트나 비앙코
시칠리아 에트나 토착 화이트 품종 카리칸테(Carricante) 100%로 레몬, 살구, 사과향, 미묘한 흰꽃 힌트, 허니서클, 살짝 스모키한 노트, 젖은 돌이나 짭잘한 미네랄이 느껴집니다. 2001년 알베르토 쿠수마노(Alberto Cusumano)와 디에고 쿠수마노(Diego Cusumano) 형제가 만든 쿠수마노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시칠리아 5개 포도밭 500ha에서 와인을 생산합니다. 오로지 자가 소유 포도밭에서만 와인을 만듭니다. 이탈리아 최대 일간지 꼬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서 2021년 올해 최고의 와인메이커로 선정됐고 미국에서는 시칠리아 브랜드 중 1위를 달립니다. 시칠리아 와인 양조의 모던화를 이끈 혁명적인 와이너리로 평가 받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최고 권위 와인 매체인 감베로 로쏘(Gambero Rosso)의 최고 평점인 트레 비끼에리(Tre Bicchieri)도 여러차례 수상했습니다. 비노비노에서 수입합니다.
카데이 프라티 와인들. 최현태 기자
▶카 데이 프라티 이 프라티 루가나
이탈리아 북부 가루다 호수 인근 루가나 DOC 터줏대감 카 데이 프라티의 명성을 이어온 플래그쉽 와인으로 신선한 스타일의 루가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해내는 매력적인 와인입니다. 루가나 지역에서만 자라는 투르비아나(Turbiana) 100%입니다. 이 품종은 과거 코냑 등 프랑스 브랜디를 만드는 품종 트레비아노 토스카노(Trebbiano Toscano Ugni Blanc)의 클론으로 알려졌지만 DNA 분석 결과 트레비아노 보다 베르디키오(Verdicchio)와 매우 유사한 유전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동일한 품종은 아닙니다. 레몬, 살구, 노란꽃, 허브, 벌꿀꽃, 아몬드 등 매력적인 아로마가 두드러지며 숙성되면 잘 익은 사과 향에서 꿀 향까지 복합미도 잘 구현됩니다. 효모 앙금과 함께 6개월간 숙성합니다. 프라티는 수도사란 뜻으로 카르멜리타니 수도원이 1400년대부터 이 자리에서 와인을 만들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와이너리입니다. 롯데칠성음료가 수입합니다.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 최현태 기자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
티모라소 100% 화이트 와인입니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해 7~10개월 탱크 숙성한뒤 병입해 24개월 숙성을 거칩니다. 연간 생산량은 4950병에 불과합니다. 노란색의 진한 꽃향기로 시작해 잘 익은 과일향, 카모마일 등 향기로운 허브향이 곁들어지고 꿀향과 부싯돌의 미네랄도 더해집니다. 티모라소는 피에몬테 전통 토착 품종중 하나로 멸종 위기에 처했다가 피에몬테 동쪽 알렉산드리아의 콜리 토르토네지(Colli Tortonesi)에서 발테르 마싸(Walter Massa)가 복원에 성공한 뒤 생산량이 늘고 있는 품종입니다. 피에몬테 외에서도 티모라소를 재배하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굉장히 예민하고 질병에 취약하며 고르게 익지 않아 결국 재배에 실패했습니다. 이회토가 풍부하고 높은 고도에 일조량이 좋은 피에몬테 테루아에서만 잘 자라는 특별한 품종입니다. 샤르도네처럼 향긋하면서도 리슬링의 패트롤향, 짭조름한 미네랄, 허브향이 느껴져 마치 샤르도네외 리슬링을 섞은 느낌입니다. 특히 숙성 잠재력이 뛰어나 10~15년도 잘 버팁니다. 티모라소는 원래 신선하고 가볍게 먹는 스타일 아니고 숙성돼야 캐릭터가 제대로 살아나는 품종입니다. 이에 피에몬테 전통적인 화이트 와인 가비를 만드는 코르테제 품종과 아르네이스 품종보다 요즘 더 떠오르고 있습니다. 스카르파는 바르베라 다스티에서 12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서 깊은 생산자입니다. 스카르파는 포도무슈에서 수입합니다.
테라쩨 델라트나 치렌코와 카루수. 최현태 기자
▶테라쩨 델레트나 에트나 로쏘 카루수
에트나 토착품종 네렐로 마스칼레제 80%, 네렐로 카푸치오 20%입니다. 군더더기 없이 포도품종의 캐릭터를 명확하게 잘 보여줍니다. 레드베리, 레드체리, 라즈베리, 자두, 석류의 붉은 과일향, 스파이시한 노트, 향나무가 어우러지고 화산 토양이 선사하는 미네랄도 잘 느껴집니다. 높은 해발고도 포도밭의 특징인 우아하고 날렵한 구조가 돋보이고 세련된 탄닌과 적당한 바디감을 지녔습니다.
에트나에 큰 애정을 지녔던 팔레르모 출신의 엔지니어인 니노 베빌리쿠아(Nino Bevilacqua)는 작고 버려진 포도밭을 매입해 2008년 와이너리를 설립합니다. 와이너리 이름 테라쩨는 에트나 고대 포도재배 방식인 테라스 형태 포도밭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에트나 지역의 떼루아를 최대로 잘 표현해 내기 위해 ‘와인 마법사’로 불리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컨설턴트이자 와인메이커인 리카르도 코타렐라(Riccardo Cotarella)가 참여했습니다. 제이와인컴퍼니에서 수입합니다.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 최현태 기자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
잘 익은 붉은 체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바이올렛의 꽃향, 세이지의 달콤한 허브향과 스파이스 노트가 느껴지고 숙성되면 발사믹 노트가 살짝 나타납니다. 입안에서는 우아하고 풍부하며 완벽한 밸런스를 잘 보여줍니다. 생기발랄한 산도와 부드러운 탄닌감도 지녔습니다. 33헥토리터 대형 슬라보니안·프렌치 오크에서 12개월 숙성하고 병입후 최소 4개월 병숙성을 거칩니다. 2021년 이탈리아의 미슐랭 가이드 ‘감베로 로쏘’가 ‘가장 새롭게 부상하는 이탈리아 와이너리’로 리돌피를 선정했고, 디캔터는 ‘몬탈치노의 떠오르는 스타’로 소개할 정도로 요즘 주목받는 와이너리입니다. 이탈리아의 유명 와인평론가 루카 가르디니(Luca Gardini)는 라돌피 부르넬로 디 몬탈치노에 100점 만점을 줬습니다. 이탈리아 가죽 가공 회사 페레티 그룹 회장 주세페 발테를 페레티(Guiseppe Valter Peretti)가 2011년 설립한 와이너리입니다. 에노테카코리아에서 수입합니다.
최현태 기자는 국제공인와인전문가 과정 WSET(Wine & Spirit Education Trust) 레벨3 Advanced, 프랑스와인전문가 과정 FWS(French Wine Scholar), 부르고뉴와인 마스터 프로그램, 뉴질랜드와인전문가 과정, 캘리포니아와인전문가 과정 캡스톤(Capstone) 레벨1&2를 취득한 와인전문가입니다. 2018년부터 매년 유럽에서 열리는 세계최대와인경진대회 CMB(Concours Mondial De Bruxelles) 심사위원, 2017년부터 국제와인기구(OIV) 공인 아시아 유일 와인경진대회 아시아와인트로피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소펙사 코리아 한국소믈리에대회 심사위원도 역임했습니다. 독일 ProWein, 이탈리아 Vinitaly 등 다양한 와인 엑스포를 취재하며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미국, 호주, 독일, 체코, 스위스, 조지아,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와이너리 투어 경험을 토대로 독자에게 알찬 와인 정보를 전합니다.
최현태 기자 htchoi@segye.com 기자 admin@gamemong.inf
아시아와인트로피 2025 심사 현장. 최현태 기자
요즘 대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성심당’일 겁니다. 아침 일찍 문을 열기 전부터 오픈런을 할 정도로 인기가 하늘을 찔러 ‘빵지순례’에 빼놓을 수 없는 최 쿨사이다릴게임 고 성지가 됐습니다. 대전에는 성심당처럼 유명한 행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아시아와인트로피와 대전국제와인엑스포입니다. 매년 방문객 수만명이 방문하는 이 행사는 지역경제파급효과 700억원에 달하는 대한민국 최대 와인축제랍니다. 올해는 어떤 와인들의 주목을 받았을까요. 행사가 열린 현장으로 달려갑니다.
황금성릴게임사이트
행크 기브람직 독일와인마케팅공사 부회장.
박찬준 아시아와인트로피 대표. 세계일보 자료사진
◆13회 맞 릴게임바다이야기사이트 은 아시아와인트로피
2013년 시작해 올해 13회째를 맞은 ‘아시아와인트로피(Asia Wine Trophy)’는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와인기구(OIV)가 공인한 유일한 아시아 지역 국제와인품평대회로 매년 대전에서 열립니다. 전 세계에서 모인 와인전문가들은 OIV의 기준에 따라 까다롭고 엄정한 심사를 통해 가성비 야마토통기계 뛰어난 보물 같은 와인들을 발굴해 그랑골드, 골드, 실버 메달을 수여합니다. 상을 받은 와인들은 대전의 상징 ‘한빛탑’이 새겨진 아시아와인트로피 스티커를 병에 부착하는 영예를 안고 전 세계의 소비자들을 만납니다. 이 행사는 매년 와인 1만5000종이 출품되고 심사위원 400여명이 참가하는 OIV 최대 규모 와인품평회인 베를린와인트로피를 운영하는 독일와인마케 릴게임뜻 팅공사와 대전관광공사, 대전시 등이 참여하며 우리나라 최대 와인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와인 수상 리스트.
심사에는 와인양조학자, 와인메이커, 와인 교육자, 소믈리에, 수입사 등 와인유통 관계자, 레스토랑·와인바 관계자, 와인전문기자 등 와인업계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올해는 30개국에서 와인 3389종이 출품됐고 21개국 심사위원 118명이 나흘동안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통해 총 1017종을 수상 와인으로 선정했습니다. 그랑골드 40종, 골드 924종 실버 53종입니다. 수입 와인은 122종(그랑골드 9, 골드 103, 실버 14)이 선정됐고 한국 와인은 25종(골드 14, 실버 11)입니다. 한국 와인은 오드린 베베마루, 도라원 샤토미소 앰버 와인, 갈기산 와이너리 포엠 로제와인, 고도리 와이너리 로제와인, 젤코바 와이너리 아이스 화이트, 그린영농조합 그랑꼬또 로제와인 등이 골드를 받았습니다.
국제와인컨퍼런스.
국제와인엑스포.
◆논알콜에서 헝가리 와인까지
행사기간 다양한 와인컨퍼런스도 열렸습니다. 7일동안 26개 프로그램이 마련됐고 1120명 참가했습니다. 와인 전문가 대상 컨퍼런스는 8개 세션, 일반인 대상 컨퍼런스는 18개 세션입니다. 엑스포에는 2만5392명이 방문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시음과 전시회에 18개국 269개사 302개 부스가 설치됐는데 지난해 17개국 237개사 297개 부스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해외는 66개사 38부스, 국내는 203개사 264부스입니다. 올해는 바로사 밸리 등 유명 산지 몰려있는 ‘호주 와인의 심장’ 남호주가 주빈국으로 초대돼 다양한 산지의 와인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습니다. 또 다양한 오가닉 와인을 소개하는 오가닉 와인쇼 인 아시아(OWS)도 마련됐습니다.
와인컨퍼런스에서는 논알콜, 내추럴와인, 대만 싱글몰트 위스키, 조지아 대표 레드품종 품종 사페라비(Saperavi)의 장점과 다양성, 스페인 후미야(Jumilla)의 대표 품종 모나스트렐(Monastrell)의 다양성, 헝가리 케크프랑코시(Kékfrankos) 품종 등을 주제로 다양한 마스터 클래스가 개최됐습니다.
매튜 호키와 류주희 에티카와인스 한국 지사장.
특히 유튜브 채널 구독자 48만명에 달하는 인기 유튜버 닥터 매튜 호키(Dr. Matthew Horkey)와 세계 최대 프리미엄 이탈리아 와인 유통기업이 에티카와인스(Ethicawines)의 류주희 한국 지시장은 마스터 클래스 ‘이탈리아의 이그조틱한 품종’을 마련해 에티카와인스가 유통하는 다양한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세계를 소개했습니다.
‘이탈리아의 이그조틱한 품종’ 국제와인컨퍼런스 와인들.
이탈리아 북부 루가나(Lugana) DOC의 카데이 프라티 이 프라티 루가나(Cà dei Frati I Frati Lugana/투루비아나), 에트나의 쿠수마노(Cusumano)의 알타 모라 에트나 비앙코(Alta Mora Etna Bianco/카리칸테), 에트나의 테라쩨 델레트나 에트나 로쏘 카루수(Terrazze dell’Etna Etna Rosso Carusu/네렐로 마스칼레제), 피에몬테의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Scarpa Monferrato Bianco/티모라쏘·Timorasso),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Ridolfi Rosso di Montalcino/산지오베제), 사르데냐의 셀레 에 모스카 메데우스 로쏘(Selle e Mosca Medeus Rosso/칸노나우·Cannonau), 북서부 발레 다오스타 아르나드 몽조베 수페리오레(Valle d’Aosta Arnad Montjovet Supérieur/네비올로 클론 피코텐드로·Picotendro) 등입니다.
시칠리아 알타모라 에트나 로쏘와 비앙코. 최현태 기자
▶쿠수마노 알타모라 에트나 비앙코
시칠리아 에트나 토착 화이트 품종 카리칸테(Carricante) 100%로 레몬, 살구, 사과향, 미묘한 흰꽃 힌트, 허니서클, 살짝 스모키한 노트, 젖은 돌이나 짭잘한 미네랄이 느껴집니다. 2001년 알베르토 쿠수마노(Alberto Cusumano)와 디에고 쿠수마노(Diego Cusumano) 형제가 만든 쿠수마노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시칠리아 5개 포도밭 500ha에서 와인을 생산합니다. 오로지 자가 소유 포도밭에서만 와인을 만듭니다. 이탈리아 최대 일간지 꼬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서 2021년 올해 최고의 와인메이커로 선정됐고 미국에서는 시칠리아 브랜드 중 1위를 달립니다. 시칠리아 와인 양조의 모던화를 이끈 혁명적인 와이너리로 평가 받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최고 권위 와인 매체인 감베로 로쏘(Gambero Rosso)의 최고 평점인 트레 비끼에리(Tre Bicchieri)도 여러차례 수상했습니다. 비노비노에서 수입합니다.
카데이 프라티 와인들. 최현태 기자
▶카 데이 프라티 이 프라티 루가나
이탈리아 북부 가루다 호수 인근 루가나 DOC 터줏대감 카 데이 프라티의 명성을 이어온 플래그쉽 와인으로 신선한 스타일의 루가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해내는 매력적인 와인입니다. 루가나 지역에서만 자라는 투르비아나(Turbiana) 100%입니다. 이 품종은 과거 코냑 등 프랑스 브랜디를 만드는 품종 트레비아노 토스카노(Trebbiano Toscano Ugni Blanc)의 클론으로 알려졌지만 DNA 분석 결과 트레비아노 보다 베르디키오(Verdicchio)와 매우 유사한 유전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동일한 품종은 아닙니다. 레몬, 살구, 노란꽃, 허브, 벌꿀꽃, 아몬드 등 매력적인 아로마가 두드러지며 숙성되면 잘 익은 사과 향에서 꿀 향까지 복합미도 잘 구현됩니다. 효모 앙금과 함께 6개월간 숙성합니다. 프라티는 수도사란 뜻으로 카르멜리타니 수도원이 1400년대부터 이 자리에서 와인을 만들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와이너리입니다. 롯데칠성음료가 수입합니다.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 최현태 기자
▶스카르파 몬페라토 비앙코
티모라소 100% 화이트 와인입니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해 7~10개월 탱크 숙성한뒤 병입해 24개월 숙성을 거칩니다. 연간 생산량은 4950병에 불과합니다. 노란색의 진한 꽃향기로 시작해 잘 익은 과일향, 카모마일 등 향기로운 허브향이 곁들어지고 꿀향과 부싯돌의 미네랄도 더해집니다. 티모라소는 피에몬테 전통 토착 품종중 하나로 멸종 위기에 처했다가 피에몬테 동쪽 알렉산드리아의 콜리 토르토네지(Colli Tortonesi)에서 발테르 마싸(Walter Massa)가 복원에 성공한 뒤 생산량이 늘고 있는 품종입니다. 피에몬테 외에서도 티모라소를 재배하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굉장히 예민하고 질병에 취약하며 고르게 익지 않아 결국 재배에 실패했습니다. 이회토가 풍부하고 높은 고도에 일조량이 좋은 피에몬테 테루아에서만 잘 자라는 특별한 품종입니다. 샤르도네처럼 향긋하면서도 리슬링의 패트롤향, 짭조름한 미네랄, 허브향이 느껴져 마치 샤르도네외 리슬링을 섞은 느낌입니다. 특히 숙성 잠재력이 뛰어나 10~15년도 잘 버팁니다. 티모라소는 원래 신선하고 가볍게 먹는 스타일 아니고 숙성돼야 캐릭터가 제대로 살아나는 품종입니다. 이에 피에몬테 전통적인 화이트 와인 가비를 만드는 코르테제 품종과 아르네이스 품종보다 요즘 더 떠오르고 있습니다. 스카르파는 바르베라 다스티에서 12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서 깊은 생산자입니다. 스카르파는 포도무슈에서 수입합니다.
테라쩨 델라트나 치렌코와 카루수. 최현태 기자
▶테라쩨 델레트나 에트나 로쏘 카루수
에트나 토착품종 네렐로 마스칼레제 80%, 네렐로 카푸치오 20%입니다. 군더더기 없이 포도품종의 캐릭터를 명확하게 잘 보여줍니다. 레드베리, 레드체리, 라즈베리, 자두, 석류의 붉은 과일향, 스파이시한 노트, 향나무가 어우러지고 화산 토양이 선사하는 미네랄도 잘 느껴집니다. 높은 해발고도 포도밭의 특징인 우아하고 날렵한 구조가 돋보이고 세련된 탄닌과 적당한 바디감을 지녔습니다.
에트나에 큰 애정을 지녔던 팔레르모 출신의 엔지니어인 니노 베빌리쿠아(Nino Bevilacqua)는 작고 버려진 포도밭을 매입해 2008년 와이너리를 설립합니다. 와이너리 이름 테라쩨는 에트나 고대 포도재배 방식인 테라스 형태 포도밭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에트나 지역의 떼루아를 최대로 잘 표현해 내기 위해 ‘와인 마법사’로 불리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컨설턴트이자 와인메이커인 리카르도 코타렐라(Riccardo Cotarella)가 참여했습니다. 제이와인컴퍼니에서 수입합니다.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 최현태 기자
▶리돌피 로쏘 디 몬탈치노
잘 익은 붉은 체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바이올렛의 꽃향, 세이지의 달콤한 허브향과 스파이스 노트가 느껴지고 숙성되면 발사믹 노트가 살짝 나타납니다. 입안에서는 우아하고 풍부하며 완벽한 밸런스를 잘 보여줍니다. 생기발랄한 산도와 부드러운 탄닌감도 지녔습니다. 33헥토리터 대형 슬라보니안·프렌치 오크에서 12개월 숙성하고 병입후 최소 4개월 병숙성을 거칩니다. 2021년 이탈리아의 미슐랭 가이드 ‘감베로 로쏘’가 ‘가장 새롭게 부상하는 이탈리아 와이너리’로 리돌피를 선정했고, 디캔터는 ‘몬탈치노의 떠오르는 스타’로 소개할 정도로 요즘 주목받는 와이너리입니다. 이탈리아의 유명 와인평론가 루카 가르디니(Luca Gardini)는 라돌피 부르넬로 디 몬탈치노에 100점 만점을 줬습니다. 이탈리아 가죽 가공 회사 페레티 그룹 회장 주세페 발테를 페레티(Guiseppe Valter Peretti)가 2011년 설립한 와이너리입니다. 에노테카코리아에서 수입합니다.
최현태 기자는 국제공인와인전문가 과정 WSET(Wine & Spirit Education Trust) 레벨3 Advanced, 프랑스와인전문가 과정 FWS(French Wine Scholar), 부르고뉴와인 마스터 프로그램, 뉴질랜드와인전문가 과정, 캘리포니아와인전문가 과정 캡스톤(Capstone) 레벨1&2를 취득한 와인전문가입니다. 2018년부터 매년 유럽에서 열리는 세계최대와인경진대회 CMB(Concours Mondial De Bruxelles) 심사위원, 2017년부터 국제와인기구(OIV) 공인 아시아 유일 와인경진대회 아시아와인트로피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소펙사 코리아 한국소믈리에대회 심사위원도 역임했습니다. 독일 ProWein, 이탈리아 Vinitaly 등 다양한 와인 엑스포를 취재하며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미국, 호주, 독일, 체코, 스위스, 조지아,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와이너리 투어 경험을 토대로 독자에게 알찬 와인 정보를 전합니다.
최현태 기자 htchoi@segye.com 기자 admin@gamemong.inf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